개정 배경
제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2, 3학년의 선택 중심 교육과정은 세계화, 다양화를 지향하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고 학생들이 자기 적성, 소질, 진로에 따른 '과목 선택 기회'를 제공하는 취지에서 도입된 것이다. 선택 중심 교육과정은 크게 일반 선택 과목과 심화 선택 과목으로 구분되며, 일반 선택 과목은 교양 증진 및 실생활과 연관된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고, 심화 선택 과목은 교양 증진 및 실생활과 연관된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고, 심화 선택 과목은 학생의 진로, 적성과 소질을 계발하는 데 도움이 되는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1997년에 고시된 선택 중심 교육과정은 2003년(고등학교 2학년)과 2004년(고등학교 3학년)에 학교 현장에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그동안 체육 교육계의 관심은 체육과 선택과목의 '필수 선택화'에 집중되어 있었기 때문에 체육과 선택 과목의 교육과정 내용에 대한 이론적, 학문적인 논의는 상대적으로 미진했다. 2004년도부터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총론과 체육과 연구보고서를 통해서 기초 연구가 수행되기 시작했고, 소수의 학술 논문이 존재하는 상황이다. 이 연구 보고서들과 학술 논문들은 체육과 선택 과목의 개설 체제와 현황 조사, 심화반의 편성 운영 실태, 선택 과목의 선택 경향 및 원인 분석 연구 등을 수행한 것으로, 교육과정 총론의 연구 틀 속에서 또는 국민 공통 기본교육과정의 체육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측면에서 부분적으로 수행된 운영 현황 조사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와 같은 선행 연구를 통해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체육과 선택 과목의 한계점이 제기되었다. 가장 주목할 만한 한계점은 체육과 선택 과목의 교육과정이 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취지와 정신을 온전히 수용하지 못한 채 개발되었다는 점이다. 일반 선택 과목인 '체육과 건강' 교육과정의 방향과 세부 내용들이 국민 공통 기본교육과정인 체육과 교육과정과 차별성이 없고 체육학계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들의 교육적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있다. 또 다른 측면의 한계점은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체육과 심화 선택 과목의 경우 보통 교과의 과목에 해당하는 교육과정이 개발되지 못했고, 체육 계열 전문 교과의 과목에 관한 교육과정을 선택하여 활용하도록 조치가 취해졌다. 그 결과 일반 고등학교에서는 학생의 배경과 특성에 부합되지 않은 전문 교과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게 되었고, 더불어 체육 교과서 없이 수업을 진행하거나 학생들의 수준과 흥미에 밎지 않은 교과서리라 그대로 활용하는 사례가 나타나게 되었다. 2004년도에 조사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97% 이상의 체육 교사와 전문가들은 보통 교과로서의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개정된 고등학교 체육과 선택 과목 교육과정에서는 이와 같은 제 7차 체육과 선택 과목의 교육과정 한계점을 극복하고, 보다 바람직한 선택 과목의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번 개정에서는 체육과 선택 과목이 제7차 때와 마찬가지로 3개로 개설되었다. 그러나 제7차 때와 다른 점은 3개 과목 모두가 보통 교과로서의 교육과정으로 개발된다는 점이다. 제7차 체육과 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심화 선택 과목은 체육계 전문 교과 교육과정 체제를 따르고 있으나, 세부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내용구성의 방향에 여러 가지 진로를 희망하는 예비 체육인들의 교육적 요구를 수용하기에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무리가 있다. 첫째, 체육 계열 전문 교과 교육과정은 주로 체육계에서 경기인 향상을 목적으로, '체육 개론'과 '스포츠 과학' 과목을 제외한 실기 관련 과목들이 기존 스포츠 종목의 순동 수행 능력 향상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체육 이론에 해당하는 과목인 '체육 개론'과 '스포츠 과학'의 내용 구성도 그 체계성이 확고하게 확립되어 있지 못한 상황이다. 내용 체계로 판단할 때, 체육 이론에 해당하는 '체육 개론'과 '스포츠 과학'이 이원화된 근거가 평확하지 않다. 체육 개론은 체육학의 철학, 역사, 운동 생리, 보건 등이 하위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고, 스포츠 과학은 생리학적 기초, 역학적 기초, 심리학적 기초, 사회학적 기초, 교육학적 기초, 트레이닝 원리와 실제 등이 하위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내용 체계의 구분에 대한 분명한 준거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 또한 '체육 개론' 과 '스포츠 과학'의 내용 체계는 보통 교과인 '체육'의 내용 체계 중에서 '이론과 보건 영역 상호 중복되어 심화 선택 운영의 목적 또는 취지와 동떨어지고 있다. 둘째, 현행 체육 계열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육과정은 체육계의 경기인 또는 경기 지도자 양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대학의 체육 계열 학부 교육과정과 연계할 수 있는 교육과정 내용 구성이 미흡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체육 계열 학부 교육과정에서는 체육 계열 전문 교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과목의 내용처럼 세분되고 경기 능력 향상에 초점을 두고 강좌를 개설하지 않는다. 즉 체육의 학문성을 강조하는 전문화된 지식 교육(체육 철학, 체육사, 운동생리학, 운동역학, 스포츠사회학, 스포츠심리학, 스포츠 교육학, 스포츠마케팅,여가 레크리에이션 등)을 우선으로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체윢과의 선택 과목은 고등학교에서 체육학의 다양하고 전문화된 지식을 학습할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개정된 고등학교 체육과 선택 과목은 제7차 교육과정에서와 같이 체육 계열 전문 교과 교육과정을 이용하지 않고 보통 교과로서의 교육과정을 지향하였다.
'체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0) | 2022.09.24 |
---|---|
2009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0) | 2022.09.18 |
체육과 교육과정 (0) | 2022.09.18 |
체육학 글쓰기 -운동일기(빙상일기)- (0) | 2022.09.14 |
체육학 -체육학 글쓰기의 전략, 체육학 글쓰기의 기법- (0) | 2022.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