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학

체육과 스포츠 심리학 - 운동학습 (2) -

dream-tree89 2023. 6. 23. 21:16
728x90
반응형

4. 운동학습의 원리

운동학습 (2) 초보자와 숙련자의 동작은 확연히 눈에 띄게 차이가 있음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운동 기술의 향상, 즉 기술이 학습됨에 따라 나타나는 변화는 무엇이고, 어떠한 과정과 단계를 거쳐 학습이 이루어지는지 그 원리를 알아보자.



 1) 운동학습 과정

운동학습 (2) 운동 기술은 보고 듣고 신체적 · 정신적으로 반복 연습하고 피드백을 통해 동작을 수정하는 과정을 거쳐 습득된다. 이는 많은 시간과 연습 과정을 거쳐 학습된다. 지도자는 이러한 과정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학습자에게 효율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1) 운동 기술 특성에 대한 파악

운동학습 (2) 운동 기술의 학습 과정은 자신이 수행할 운동 기술 동작을 보는 것부터 시작된다. 학습자는 제시된 동작의 전체적인 움직임 형태를 보고 그 운동 기술의 특성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학습자는 교사나 시연자로부터 제시되는 운동 기술 동작의 전체적인 움직임 형태를 관찰한 후에 그 운동 기술의 특성에 대한 정보를 지각한다.



 (2) 동작의 구성 수준 결정

운동학습 (2) 운동 기술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신체 부분 및 근육과 관절을 선택하고 어떠한 수준으로 사용할지 결정하는 단계다. 예를 들어 테니스에서 타격 순간의 시선과 볼과의 관계, 팔꿈치 관절과 어깨 관절, 허리 움직임과의 관계, 그리고 자신에게 적합한 스탠스 등과 같이 포핸드 스트로크 기술에 필요한 하위요소들을 결정할 수 있다. 태권도 겨루기에서는 상대의 공격을 피하고 반격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서 어느 수준으로 회피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지 결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체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앞다리로는 바닥을 밀며 빠진 뒤에 뒷다리는 곧바로 반격해야 한다. 이처럼 신체 부위와 근육 및 관절은 기술의 효율성과 효과성으로 고려하여 사용 수준을 결정해야 한다.



 (3) 동작의 오류 수정

운동학습 (2) 움직임 구성 수준이 결정되어 실제로 동작을 수행하면 자신이 생각했던 것만큼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처럼 자신 혹은 다른 사람을 통해 동작의 차이를 느끼고 이를 수정함으로써 숙련된 동작을 발현할 수 있다. 동작의 오류수정을 위해 자주 사용되는 방법으로 숙련자들의 수행을 관찰한다. 예를 들어 숙련자의 운동수행 장면을 반복적으로 관찰하여 수행에 대한 운동구조가 명확하게 설정되었다 하더라도 그 운동수행을 수행할 때 발생하는 오류의 수정 방법을 모른다면 운동 기술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없다.



키 포인트

동작의 오류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활용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자신의 수행과 숙련자의 수행을 영상 촬영하여 분석하는 방법이 있다(비디오 분석).



 (4) 자동화와 안정성 획득

운동학습 (2) 숙련된 운전자는 자연스레 옆 사람과 대화하거나 음악을 감상하면서 운전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막 운전을 시작한 초보자는 모든 신경을 운전하는 것에만 집중한다. 이처럼 오랜 기간의 연습이 이루어지면 운동수행을 위한 의식적인 주의가 점차 감소한다. 즉 특별한 주의집중 없이도 운동수행이 가능해진다. 이처럼 운동수행에 대한 의식적인 주의 없이 수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운동수행의 자동화가 이루어졌다고 한다. 이 단계에 도달한 학습자들에게는 다양하고 변화가 많은 요소와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2) 운동학습의 단계

운동학습 (2) 지도자는 학습자에게 효율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학습의 과정뿐만 아니라 초급·중급·상급으로 이루어지는 학습 단계를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단계는 다양한 이론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되지만, 가장 대표적인 단계는 아래와 같다.

 

 (1) 피츠와 포스너의 운동학습 단계

운동학습 (2) 피츠와 포스너는 운동학습의 단계를 학습자의 인지적 또는 주의집중 정도가 감소함에 초점을 두어 인지·연합·자동화 단계로 구분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슈미트와 리스버그도 언어-인지 단계, 운동 단계, 자동화 단계로 구분하였다. 학습 초기에는 많은 주의집중과 인지적인 노력이  학습이 진행됨에 따라 이러한 인지적인 노력과 주의집중 정도는 점차 감소하는 것이 이 학습 단계의 특성이다.

 태권도 초보자 정현이가 사범에게 발차기에 대해 배우는 상황을 상상해 보자. 정현이는 사범으로부터 발차기에 대한 목적과 특성 그리고 대략 어떻게 동작이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언어적 설명과 동작 시범을 접한다. 이것이 인지(초보) 단계에 해당한다. 이 단계에서는 동작과 관련된 정보 활용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어색하고 비효율적인 패턴의 동작이 나타난다. 또한 잘못된 동작에 대한 수정 능력도 부족하다.

 이후 정현이는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서 발차기를 어느 정도 잘할 수 있게 되었고, 간혹 발생하는 잘못된 동작도 바로 수정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사범이 잡아주는 다양한 타깃도 일관적으로 정확하게 타격할 수 있었다. 이는 연합(중급) 단계에 해당한다.

 반복된 연습과 시합을 통해 정현이는 이제 무의식적으로 큰 집중이나 주의 전환 없이도 발차기를 능수능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주변의 환경, 움직이는 상대방(타깃) 등에 대해서도 다양하게 주의를 전환하면서 발차기를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시시각각 변하는 상황에서도 정확하고 일관적인 동작 수행이 가능한 단계를 자동화(숙련)라고 한다.



키 포인트

운동학습 (2) 운동 기술이 자동화 단계에 이를수록 주의집중 요구 수준도 낮아진다. 따라서 우리나라 국가대표 수준의 선수와 일반 선수가 같은 기술을 수행하더라도 주의집중을 위해 쏟는 노력은 크게 차이가 난다.



 (2) 젠타일의 단계

운동학습 (2) 젠타일은 운동 기술의 분류에 따라 두 단계로 구분하였고, 각각의 단계에 해당하는 지도 전략도 제시하였다. 먼저 움직임의 개념습득 단계다. 이는 피츠와 포스너의 인지 단계와 유사하다. 이러한 움직임의 개념습득이 이루어지고 난 다음 운동 기술의 분류에 따라 고정화 및 다양화 단계로 구분되어 적용된다.

 고정화 단계는 사격이나 양궁, 태권도 품새와 같이 환경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폐쇄운동기술이 해당한다. 이 단계는 동작의 일관성을 향상하기 위한 지도 전략이 필요하다. 즉 일관적인 환경 조성 및 같은 동작의 반복적인 연습이 요구된다.

 반면에 다양화 단계는 축구와 럭비, 태권도 겨루기와 같이 환경의 변화를 예측할 수 없는 개방운동기술이 해당한다. 이 단계는 다양하게 변화하는 환경에 가장 적절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움직임의 적응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수비수의 위치를 매번 달리하여 드리블 연습을 하거나 여러 가지 타깃을 다양한 위치에 놓고 발차기를 연습하는 것 등이 좋은 예다.



 (3) 번스타인의 단계

운동학습 (2) 번스타인은 우리가 지니고 있는 관절의 활용 능력에 따라 자유도의 고정 단계, 자유도의 풀림 단계, 그리고 반작용의 활용 단계로 구분하였다. 예를 들면 태권도 초보자 철수는 돌려차기 연습 시 다리를 하나의 단위로 생각하고 사용할 것이다. 쉽게 말해서 허리, 골반, 무릎, 발목을 마치 하나의 관절인 듯 경직된 동작을 보일 것이다. 즉 동작이 어색하고 딱딱하며 비효율적인 동작 패턴이 나타난다. 이 단계를 자유도의 고정 단계라고 한다.

 연습이 진행됨에 따라 철수는 돌려차기와 관련된 다양한 관절을 유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점차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돌려차기 동작이 가능해진다. 하나로 고정되었던 관절들이 비로소 각자의 기능을 한다는 뜻에서 자유도의 풀림 단계라고 말한다.

 마지막으로 다양하게 변화하는 상대방의 움직임, 공의 속도 그리고 높낮이 등의 주변 환경 속에서 자신의 여러 신체 관절들을 유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단계에 접어들게 된다. 이 단계에서는 마찰력, 작용과 반작용 현상을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를 반작용의 활용 단계라 한다. 예를 들어 돌려차기의 속도와 힘을 최대로 발현하기 위해서는 작용·반작용 원리를 사용해야 한다. 목표물을 가격하기 위해서는 차는 다리를 접어 올려 펴는 순간(작용) 상체를 반대로 틀며 반작용을 만들어야 속도와 힘을 극대화할 수 있다. 

 

 

반응형